라벨이 1인개발인 게시물 표시

구글 '비공개 테스트'

이미지
  배경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게임포함)이 일상에 녹아들면서 관련 개발자 또한 늘어나는 추세이다. 또한, 각종 생성형 AI 들이 비약적인 발전을 하면서 1인개발을 주업 또는 부업으로 하려는 사람들이 용기를 얻고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고 있기도 하다. 본인 또한 그러한 추세에 올라타고자 한다. 그래서일까, 늘어나는 개발자를 필터링하려는지 구글 플레이 콘솔에 개발자 등록과 앱 등록의 과정이 조금 번거로워 졌다. 이 글에서는 '방법'보다는 '과정'에 포커싱하여 이후에 1인 개발자들이 허둥대는 일이 적어질 수 있도록 하려 한다. 향후 구글 정책이 어떻게 바뀌게 될지 모르나, 점차 보수적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는 점은 미루어 짐작이 되는 부분이다. 본 글은 2024년 7월 ~ 8월에 '개발자 등록' 부터 '비공개 테스트'까지 했던 과정을 기록한다. '플레이 콘솔' 개발자 등록 APPLE은 개발자 등록 비용이 매년 약13만원 정도 지출이 발생하는 것에 비해, Google 플레이 콘솔은 최초 등록시 1회 약 3만5천원의 비용만 지불 하면 되기때문에 자신의 아이디어가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 받는지 확인 하기 좋은 생태계를 구축 해 놓았다. 개발자 등록을 하는 과정에서 '신원인증'(또는 '본인 확인')이라는 과정이 있는데, 이는 '결재'와 관련된 부분이라. Google Payments에서 관리하는 부분으로 보인다. 이를 완료 하지 못하면 아직 개발자로 등록이 되지 않은 상태라 앱 게시도 하지 못한다. 구글에서 요청하는 서류는 아래와 같다. 온라인에서 모든 청구와 명세가 이루어지는 대한민국의 상황에 맞지 않는 아날로그한 요청사항이다. 참으로 난감한 상황이라 머리를 쥐어짜서 꾸역꾸역 '임대 계약서'를 pdf로 떠서 업로드 하였으나, 1영업일 후에 거절 되었다. 요청사항에 있던 '임대 계약서' 임에도 거절을 당하다니 몹시 황당 및 당황 하였지만, ...